본문 바로가기

Linux

DNS 서버

 

DNS서비스

  • 분산 데이터베이스(수많은 네임 서버들이 계층형 구조로 되어있다.)
  • 네임 서버들은 독립적이다
  • 호스트네임을 ip로 변환한다.

DNS구조

 

Client가 www.naver.com 의 ip를 원하는 경우 

1. Root DNS Server에 접속하여 com DNS Server의 ip를 물어본다.

2. com DNS Server의 ip로 naver.com 관리 DNS Server의 ip를 물어본다.

3. naver.com 관리 DNS Server에게 www.naver.com 의ip를 물어본다.

4. www.naver.com 의 ip를 Client에 제공. 

 

Top Level Domain server(TLD)

  • com, org, net 등과 같은 상위 레벨 도메인, 모든 국가의 상위 레벨
  • 도메인에대한 책임이 있다

Authoritative DNS server(책임서버)

  • 기관들은 호스트 명을 ip로 매핑하기 위한 DNS레코드를 제공하는데, 책임 DNS서버가 레코드를 갖는다.
  • 일부 서비스 제공자의 책임 DNS서버에 이 레코드를 저장하도록 비용을 지불 할 수도 있다.

Cache DNS server(Forwarder)

  • 엄격한 계층 구조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 ip매핑을 위한 도메인 정보를 갖지 않는다.
  • 호스트의 질의에 대답만을 제공한다.
  • local DNS 서버로 책임 DNS보다 많이 쓰인다.

Local DNS server

  • ip의 주소를 질의했을 때 대답해주는 서버
  • /etc/resolv.conf에 저장된 네임 서버
  • 자신이 갖고 있는 도메인 이름은 바로 알려주고, 모르는 경우에는 root DNS server에 물어본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Authoritative DNS 서버 구축(책임 DNS 서버)  (0) 2020.04.23
RSYNC  (0) 2020.04.13
CRON  (0) 2020.04.13
vi 에디터  (0) 2020.04.08
Linux 기본 명령어 공부  (0) 2020.04.07